<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라는 드라마를 처음 접했을 땐 정신병동에 대해 그린 드라마가 우리나라에 몇 개나 있었나 하며 사실상 거의 처음이라고 생각이 들 정도인 소재를 가지고 어떻게 전개해 나아갈지 궁금했다. 첫 1화는 삐딱한 마음으로 봤던 것 같다.
하지만 전체 12화까지 모두 다 보고 나서 든 생각은 현실엔 저렇지 않아가 아니라 현실도 저랬으면 하는 것이었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넷플릭스 시리즈 중 현재 1위를 달리고 있는데 이전에 '오징어 게임'이라든지 '더글로리'처럼 이 드라마는 외국에서까지 열광할만큼 자극적이지는 않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 뿌리 박힌 낙인효과와 그들에 대한 시선에 대해 적나라게 표현되어 있었다. 또 정신질환에 대해 오랜 시간 동안 기피하고 두려워하며 '나는 아닐 거야'라고 생각했던 것을 무참히 깨버린다. 이 드라마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는 결국 사랑이다. 사람과 사람 간의 따뜻한 마음, 그리고 사랑, 그래서 휴먼드라마가 맞다.
드라마의 각 소제목을 참 잘 지었다. 1화는 정다은(박보영)이 어떻게 내과 3년 차가 정신과 병동으로 로테이션해서 들어오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야기와 더불어 오리나 환자의 양극성 장애(조증과 울증이 함께 나타나는 정신 질환)에 대해 다룬다. 1화를 보고 나서의 감상은 어떻게든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며 다른 부분을 집어내고야 말겠다는 불필요한 생각이 가득했는데 드라마를 보다 보면 공감 가는 부분들이 불쑥불쑥 나온다.
2화에선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김성식의 이야기가 나온다. 김성식은 직장생활 속에서 상사의 괴롭힘으로 인해 결국 공황장애와 망상장애를 함께 겪게 되었다. 회사 동료 모두가 나를 싫어하고 지켜본다는 망상에 사로잡혀 어떠한 일도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2화까지만 해도 다은은 참 따뜻한데 답답한 간호사라고 느꼈다. 김성식 환자가 전원을 가야 해서 진정제를 맞고 갈 준비를 하는데 김성식 환자가 키우는 후크선장(고양이)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환자가 느끼기에 자극적인 말을 해버리는 바람에 환자는 액팅아웃을 하게 되고, 결국 전원도 못 가게 되었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가 입게 되었고, 다은의 환영회식자리에서 결국 다은은 차지간호사인 수연에게 죄송하다며 병원으로 돌아가 김성식 환자의 전원 할 병원을 알아보겠다고 한다.
사실 이 부분에서 박수연 역의 배우가 진짜 저 정도면 간호사 경력이 있는 게 아닌가 했는데 진짜 간호사 경력이 있는 배우였다. 간호사들의 말투와 더불어 빠른 걸음, 머리망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해도 굳이 머리망을 한 것 까지도 너무나도 진짜 간호사 같았다. 그리고 3회는 간호학생 실습에 대한 내용들이 나온다. 정신과 병동은 실습이 아니고서야 쉽게 접하기 어려운 곳이긴 하다.
3화에서도 계속해서 공황장애에 대해 다룬다. 다은의 남사친 유찬이 왜 대기업을 때려치우고 치킨을 튀기는지도 함께 나온다. 그도 공황장애를 앓고 있었으니까. 4화는 조금 더 안타까운 사연이다. 보이스피싱으로 3천만 원을 잃고 망상장애를 앓다 다은이 돈을 훔쳐갔다며 병동을 뒤집어 놓는 이야기, 5화는 차지간호사 수연이 워킹맘으로 고군분투하며 자신을 잃은 환자를 보며 진정으로 본인의 삶을 다시 되돌아보게 되는 이야기이다.
6화는 앞에 계속해서 나온 다은의 환자인 김서완에 대한 이야기인데 김서완 환자의 이야기가 후반부의 주요 중심이 되기에 이야기하자면, 김서완 환자는 공무원 시험준비생이었고 장수생이었다. 평범하게 대학생활을 마쳤지만, 뛰어난 스펙을 가진 경쟁자들로 인해 서완은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 된다. 매번 한 두 문제로 떨어지다 보니 서완은 결국 시험에 대한 압박감 등으로 자신이 도저히 쓸모없는 사람이 된 것 같았다.
공무원 시험을 아무리 열심히 준비를 한다고 하더라도 시험에 합격해야만 열심히 한 것에 대해 인정해 줄 뿐 합격하지 않으면 어느 누구도 인정해주지 않는다는 말이 참 아팠다. 하지만 게임은 내가 시험에 통과하지 않아도 받아준다. 결국 서완은 게임 중독을 넘어서 게임세계에서 살아간다. 그러한 망상으로 인해 서완은 다은을 중재자님이라고 부르며 서완의 세상은 게임 속 세상과 같다.
그러다 약물 치료를 지속하다 보니 병식(병에 대한 인식)이 생기고 자신이 누구인지, 왜 이러한 상황에 있는지를 기억하게 된다. 오랜 공시생 생활로 인해 우울증이 생겼고 그 우울증으로 인해 망상이 깊어졌다. 약물치료를 통해 서완은 많이 회복되어 의사의 권유로 퇴원하게 되는데 다은은 아쉬운 마음과 더불어 서완이 회복되어 다행이라는 생각에 서완에게 연락처를 주며 언제든 필요하면 연락하라고 전한다. 실제로는 병원에서 간호사가 환자에게 개인 연락처를 주면 안 된다고 한다.
다은은 고윤(연우진)의 달달한 고백을 받던 중 서완의 전화를 받게 되고 서완이 만날 수 있냐고 SOS를 요청했지만 갑작스러운 연락에 곤란함을 표하게 된다. 결국 서완은 자신의 현실이 너무나도 절망스러워 자살한다. 드라마의 후반 이야기는 김서완의 자살로 인한 다은의 심경변화가 주된 이야기이다.
다은은 어쩌면 간호사를 하기에 너무나도 따뜻하고 착한 심성을 지녔다. 그래서 환자의 마음을 너무나도 공감하고 아파하다 보니 그런 일을 겪은 것은 아닐까? 서완의 자실로 인해 병동 모두 트라우마에 빠지게 되고 그중 다은은 자신이 전화를 그때 받지 않아 서완이 자살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죄책감이 되어 해리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결국 모든 것을 깨닫고 병동에서는 다은에게 병가를 쓰고 쉬다가 올 것을 권유한다. 이후 자살 생존자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가족 중 누군가 혹은 가까운 누군가가 자살을 하고서 남겨진 이들에게 나타나는 트라우마에 대해서 나온다. 드라마를 보면서 나는 겪지 않았음에도 오히려 따뜻하게 위로받고 있구나를 느꼈다.
다은은 결국 자신의 죄책감으로 심한 무력감과 우울감으로 인해 자살시도를 하게 되고 한 정신병원에 입원을 한다. 자신은 정신과 병동 간호사인데 본인이 입원해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아 거부하고, 약도 먹은 척하며 뱉어내고, 여느 환자들과 다르지 않은 행동들을 하곤 한다. 다은은 그냥 단순히 사고가 날 뻔했던 것으로 기억했던 날이 사실은 자살기도를 했다는 것이 떠오른 다은은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한다.
하지만 간호사가, 그것도 정신과 간호사가 정신병원 보호병동에 입원했다는 사실이 알려질까 두려웠다. 하필 그 병원에서 김성식 환자까지 마주쳐버려서 악몽까지 꾸게 된다. 병원에 복직했지만 결국 본인이 정신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사실이 병원 전체에 소문이 나게 된다. 내과 병동에서 내쫓듯 로테이션시켰던 수간호사는 오히려 따뜻한 말 한마디로 위로를 한다.
그렇게 다은은 서서히 회복해 나간다. 사실 후반부 이야기는 드라마를 보는 것이 더 나을듯해 아주 간략하게만 썼다. 들레의 이야기, 수선생님의 이야기, 그리고 고윤과 다은의 이야기도 너무 좋았다. 이 드라마를 보면서 중요한 것을 잊어버렸구나 생각이 들었다. 단순히 유찬이 6시가 넘어서까지 일을 시키는 상사에게 자신은 주 40시간을 넘겨서는 일을 할 수 없다고 나가버리는 모습을 보면서 '이건 현실에서 절대 있을 수 없어'라고 할 것이 아니라 사실 저게 맞지, 상사라고 해서 자신이 해야 할 일을 떠넘겨서도 안되고 그걸 당연히 여겨서도 안되는데 말이다.
'사회에선 저렇게 하면 안 돼'가 아니다. '사회가 저래선 안 돼'가 맞다. 직접적인 말로 '너희 이제부터 정신질환에 대해서 편견 갖지 마'보다는 드라마를 통해 현재 정신질환자들이 겪는 현실과 또 우리 사회가 어떠한지를 적나라게 보여주는 것이 오히려 더 많은 생각이 들게 한다.
정신질환자들이 겪는 망상과 그 이야기, 그리고 또 우리 사회에서 겪는 시선들을 다룬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잔잔한 드라마이지만 너무 과몰입 시 함께 지칠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길 바라며 차디찬 겨울과 따뜻한 봄을 함께 느낄 수 있었던 드라마였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였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한국 사회가 가진 문제를 거의 다 건드린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걸 어렵지 않게 풀어낸다는 점에서 탁월한 드라마가 아닌가 칭찬하고 싶다. 또한 신파적인 소재를 다루면서도 전혀 신파스럽지 않은 부분도 좋았다. 드라마의 완성도보다는 느낄 점이 많아서 많은 사람들이 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