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복지/복지정책이야기

일상회복지원금 10만 원 지급, 언제 하나! (인천, 광주, 순천, 울산, 6차 재난지원금 무산)

by Blue Bloods 2021. 11. 19.
 

 

일상회복지원금-지급-지자체들
일상회복지원금 지급 지자체들

안타깝게도 전 국민 6차 재난지원금 지급, 이재명 후보가 사실상 철회를 했는데요, 이렇다 보니 지방자치단체의 10만 원 일상 회복 지원금을 지급한다는 속보가 올라왔는데,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만 먼저 말씀드리면 민주당 지자체장들 일상회복지원금 10만 원씩 뿌리는데, 인천, 울산, 광주광역시 소속 지자체가 먼저 먼저 앞장서서 1인당 10만 원씩 지급하기로 했다는 소식입니다. 또 이와 별도로 전남도에서는 소상공인 일상 회복 지원금 360억 원을 긴급 지급한다는 소식도 속보로 올라왔는데요, 내용을 보겠습니다. 

 

 

일상회복지원금-보도내용
일상회복지원금 보도 내용

민주당 지자체장들이 있는 곳에서 일상회복 지원금 10만 원씩 주기로 했다는 소식이 좀 이채로운데요, 지금 인천과 울산, 광주가 별도 지급하겠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더불어 민주당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일상 회복 지원금을 추진했었는데요, 무산되었죠. 그래서 이렇게 인천, 울산, 광주광역시 민주당 소속 지자체장들이 1인당 10만 원씩의 일상 회복 지원금을 주겠다는 내용이 반가운 소식이 되었습니다. 

 

 

 
울산 시청에서 송철호 울산 시장이 울산 시민 112만 명에게 1인당 10만 원씩 일상회복 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발표를 했습니다. 지급방식은 기초 수급 대상자에게는 다음 달 말부터 현금으로 계좌이체를 해주고 나머지 시민들에게는 내년 1월 울산에서 쓸 수 있는 선불카드와 온누리 상품권 등으로 지급할 계획이라고 발표를 했습니다. 민주당 소속인 송철호 울산 시장은 이날 코로나로 얼어붙은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신속한 지급을 위해서 전 주민 지급을 결정했다 고 발표를 했는데요,  울산 외에 10만 원 못 받는 지자체도 좀 분발해서 최대한 빨리 이렇게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을 위해서 조금이라도 힘을 썼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일상회복지원금-지급지자체-리스트
일상회복 지원금 지급 지자체 리스트

인천광역시와 광주 광역시도 울산보다 앞서 일상 회복 지원금을 발표를 했는데요, 인천은 지난 11일에 시민 301만 명에게 올 연말까지 1인당 10만 원씩 지급하겠다고 발표를 했었고, 광주시도 지난 1일 광주시민 148만 명에게 일상 회복 지원금을 1인당 10만 원씩 지역 화폐로 지급할 계획이라고 발표를 했습니다. 이렇게 일상 회복 지원금을 추진하는 주요 지자체는 인천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전남 순천시입니다. 

 

 

전 국민 재난지원금이 철회된 만큼 더 많은 곳에서, 지자체에서라도 10만 원이라도 이렇게 인천, 울산, 광주, 전남처럼 빠르게 추가 지원금 지급 발표를 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지금까지 지자체별로 별도록 재난지원금 10만 원을 주는 곳을 알아 보았는데요,  받는 곳은 좋겠지만 못 받는 곳은 좀 힘들도 아쉬운 마음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다른 지자체에서도 가능한 재원이 있다면 최대한 노력을 해서 작은 금액이라도 재난 지원금이 지급되는 좋은 소식이 들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무엇보다 코로나가 빨리 종식되길 바랍니다. 

 

불법 스팸 문자 차단하는 방법! (통신사 무료 서비스, 번호도용문자 차단서비스, 불법 대출 문자 차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불법 스팸 문자 차단하는 방법! (통신사 무료 서비스, 번호도용문자 차단서비스, 불법 대출 문자

스마트폰을 쓰시는 분이라면 머리가 아픈 일이 많이 생기는데요, 그중에 하나가 계속 늘고 있는 불법 스팸 문자입니다. 지워도 지워도 끊임없이 오는데요, 공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좋은 방법

hightechlowtech85.tistory.com

개인정보 유출 확인 방법! (아이디, 패스워드 유출 여부 확인하기,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개인정보 유출 확인 방법! (아이디, 패스워드 유출 여부 확인하기,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내가 사용하고 있는 개인정보, 불법 유통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왔습니다. 개인정보 보호 위원회에서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를 드디어 시작했습니다. 보도자료를 살펴보면

hightechlowtech85.tistory.com

 

 

댓글